fnctId=profl,fnctNo=145 게시물 검색 검색하기 이름 직위(직급) 세부전공 인물소개 리스트 강봉룡 직위(직급) 교수 세부전공 한국고대사, 한국해양사, 이야기콘텐츠 전화번호 061-450-2139 이메일 kangbr@mnu.ac.kr 사무실 인문관(B15) 409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강봉룡 메일 보내기 강봉룡 직위(직급) 교수 이메일 kangbr@mnu.ac.kr 세부전공 한국고대사, 한국해양사, 이야기콘텐츠 전화번호 061-450-2139 사무실 인문관(B15) 409호 학력사항 서울대학교 : 역사교육과 (교육학사) 서울대학교 : 국사학과 한국고대사(문학석사) 서울대학교 : 국사학과 한국고대사(문학박사) 논문실적 1987: 신라 중고기 주제의 형성과 운영 1989: 울진 신라 거벌모라비의 재검토 1990: 6~7세기 신라의 병제와 지방통치체제의 재편 1991: 신라 상고기 중앙정치체제의 기본원리와 ‘부’ 1992: 삼국시기의 율령과 ‘민’의 존재형태 1992: 6~7세기 신라 정치체제의 재편과정과 그 한계 1994: 민의 존재형태 1994: 신라 지방통치체제 연구 1994: 신라통일기의 지배체제 1995: 신라 중고기 ‘부’의 성격변화와 성씨제 -‘부체제’ 해체의 정치사회적 배경- 1995: 지방통치조직과 군사제도 1996: 통일기 신라의 토지분급제도의 정비 1997: 신라 하대 패강진의 설치와 운영-주군현체제의 확대와 관련하여- 1997: 신라 중고기의 주군제와 지방관 1997: 백제의 마한 병탄에 대한 신고찰 1997: 신라 승관제와 지방지배 1998: 한국 고대사회의 性 문화 1999: 3~5세기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사회’와 그 성격 1999: 통일신라 주군현제의 구조 1999: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의 대두와 그 역사적 의미 2000: 압해도의 번영과 쇠퇴-고려․고려시기의 압해도- 2000: 삼국 및 통일신라 군사참여층의 확대와 군역제 2000: 영산강유역 고대사회 성격론-그간의 논의를 중심으로- 2000: 장보고의 해상교역활동과 흑산도의 번영-당·신라시대 황해횡단항로의 활성화- 2001: 8~9세기 동북아 바닷길의 확대와 무역체제의 변동-장보고 선단의 대두 배경과 관련하여- 2001: 해양사에서 본 흑산도의 과거와 미래 2001: 海洋史現れた韓國人の海洋觀 2001: 장보고는 과연 반역자인가? 2001: 벽골제 축제와 그 해양사적 의의 2002: 고대․중세초의 한․한항로와 비금도 2002: 장보고의 암살과 청해진체제의 해체 2002: 금석문과 촌락문서를 통해서 본 신라의 촌제 2002: 한국 해양사의 전환 : ‘해양의 시대’에서 ‘해금의 시대’로 2002: 후백제 견훤과 해양세력-왕건과의 해양쟁패를 중심으로- 2002: 고대 동아시아 해상교역에서 백제의 역할 2002: 해남 화원․산이면 일대 청자요군의 계통과 조성 주체세력 2003: 서남해지방 해양사의 전개 2003: 나말려초 왕건의 서남해지방 장악과 그 배경 2003: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사회’의 형성과 전개 2003: 초등학교 향토사교육의 실제와 지향점 2003: 벽골제의 축조 및 수축과 그 해양사적 의의 2004: 신라 주군제의 연원-상고기 소국 편제방식- 2004: 고려시대 해양문화와 국사교과서 서술 2004: 임자도 우봉 조희룡 적거지의 관광자원화 방안 2005: 진도 벽파진의 고․중세 ‘해양도시’적 면모 2005: 신라의 삼국통일과 그 해양사적 의의 2006: 신라말~고려시대 서남해지역의 한․중 해상교통로와 거점포구 2006: 한국 서남해 도서·연안지역의 철마신앙 2006: 조선시대 호남지역 포구의 사례 조사·연구 2006: 해전을 통해서 본 신라의 삼국통일과 그 해양사적 의의 2007: 금강유역의 마한과 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사회’ 2008: 해양인식의 확대와 해양사 2009: 한국 해양사연구의 몇 가지 논점 2009: 고대 한․중 항로와 흑산도 2010: 이사부 생애와 활동의 역사적 성격 2010: 고대 동아시아 연안항로와 영산강․낙동강유역의 동향 2011: ‘목포권’ 도서해양문화의 창조적 재인식 2011: 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도서해양전략’ 2011: 5세기 이전 신라의 동해안방면 진출과 ‘동해안로’ 2011: 이사부와 장보고의 해양활동과 국가발전 2012: 역사콘텐츠로서 ‘명량대첩축제’의 세계화 방안 2013: 고대~고려시대의 해로와 섬 2013: 전남 신안군 섬갯벌의 지형, 지질, 경관평가 및 활용방안 2014: ‘섬의 인문학’ 담론-섬과 바다의 일체성과 양면성의 문제- 2016: 바다로 보는 한국사 2017: 문무대왕의 해양정책과 21세기 ‘해양르네상스’ 2017: 인문도시 목포-다도해의 모항 목포의 희망 만들기 인문담론 2018: HK사업의 성과와 과제-섬의 인문학 : 공간인식 패러다임의 문명사적 전환- 2018: ‘새만금 바다’, 고대 동아시아의 해양 허브-7세기 동아시아 해전과 벽골제 문제를 중심으로- 2018: 해남 백포만 고대 포구세력의 존재양태 2018: 고려시대 전남지역 해양사의 전개와 의의 2019: 왕건의 제해권 장악과 고려 건국 및 후삼국 통일 2019: 디아스포라와 장보고, 그리고 한상 2021: 언론에 투영된 섬 인식지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신안군 범죄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2022: 완도 법화사지의 성격에 대한 신고찰-고려 후기의 항몽과 백련결사, 그리고 송징과 관련하여- 2022: 한국 고대사에서 龍에 대한 인식의 변천-왕 신성 권위의 변화와 관련하여- 2022: ‘인천해역’의 ‘접경성’과 도서해양-해양 태동기 및 융성기를 중심으로- 2023: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본 고대 해남의 포구세력과 해양교류 2023: 통일신라~고려시대 흑산도 ‘읍동포구’의 ‘국제항’적 면모 단독저서 2004: 장보고-한국사의 미아 해상왕 장보고의 비밀- 2005: 바다에 새겨진 한국사 2016: 바닷길로 찾아가는 한국고대사 2016: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통일신라 발해편- 공동저서 1990: 북한의 역사인식Ⅱ 1993: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의 역사1 1994: 한국고대사산책 1997: 한국 고대·중세의 지배체제와 농민 1997: 목포개항백년사 1997: 영산강유역사연구 1998: 남북 역사학의 17가지 쟁점 1998: 삼국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998: 탐진댐 수몰지역내 문화유적 1998: 백제의 지방통치 1999: 나주지역 고대사회의 성격 1999: 나주시의 문화유적 2000: 흑산도상라산성연구 2000: 무안군의 진과 봉수 2000: 신안군지 2000: 자미산성 2001: 해상왕 장보고의 국제무역활동과 물류 2001: 후백제 견훤정권과 전주 2001: 역사교육의 방향과 국사교육 2002: 한국의 해양문화 1-上 2002: 장보고와 미래 대화 2002: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고대편) 2002: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통일신라편) 2002: 해남의 청자요지 2003: 다도해 사람들1-역사와 공간 2003: 도서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연구1-압해면편 2003: 도서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연구2-비금면편 2003: 도서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연구3-흑산면편 2003: 자랑스런 신안인 선양 및 신안 이미제 제고 방안 연구 2004: 고대로부터의 통신 2004: 장보고 연구논총 2005: 섬과 바다-역사와 자연 그리고 관광 2005: 도서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연구4-도초면편 2005: 도서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연구5-안좌 팔금면편 2006: 나주시지1 2006: 도서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연구6-지도읍편 2006: 도서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연구7-임자면편 2007: 해양사와 해양문화 2010: 해로와 포구 2010: 완도군지 2010: 한국역사민속학강의1 2010: 이사부 삼척출항과 동해비전 2011: 도서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연구9-하의면편 2011: 바닷길과 섬-그 실제와 활용- 2012: 강과 동아시아 문명 2012: 섬과 바다의 문화읽기 2012: 도서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연구10-신의면편 2012: 목포권 다도해와 류큐열도의 도서해양문화 2013: 동아시아 바다와 섬을 둘러싼 갈등과 투쟁의 역사 2013: 도서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연구11-암태면편 2013: 왕인박사연구 2013: 인천광역시사1-미추홀 2000년 인천정명 600년 2014: 도서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연구12-자은면편 2014: 도서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연구13-장산면편 2015: 섬 공간의 탈경계성과 문화교류 2015: 섬과 인문학의 만남 2015: 섬을 열다 2015: 인문학특강 2016: 신안 흑산도 고대문화 조명 2016: 바다와 섬의 인문학 2017: 다섯 마당 목포시사 1권-항도목포 2017: 한국고대사산책(증보) 2017: 해양문화의 보고 제주바다 2017: 삼별초와 동아시아 2018: 전남지역 고대문화의 양상과 교류 2018: 동북아 해역과 인문 네트워크 2018: 천년의 역사도시 나주의 재발견 2019: 영산강유역 마한사회의 여명과 성장 2019: 해양강국 고려와 전남 2020: 남도학첫걸음 2020: 남도바다, 사람이 살다 2021: 후백제와 견훤 2021: 한국고대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송기호교수 정년기념논총- 2021: 백제는 언제 영산강유역으로 진출하였나 2022: 한․중 해양문명의 교류 2022: 한중 해양문명교류 오천년 2023: 전라도천년사05-신라의 일통과 전라도 지역- 2023: 전라도천년사06-후백제의 건국과 전라도 지역- 2023: 전라도천년사07-고려 초기 전라도 지역의 동향- 2023: 천오백년, 나주의 기억 학술활동 2011.07.01.~2012.06.30. 길의 역사-미래의 길을 위한 역사적 성찰(3차) 2012.04.01.~2012.12.31. 전남 갯벌 도립공원 지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 연구 2012.09.01.~2013.08.31. 섬의 인문학-문명사적 공간인식 패러다임의 전환(2단계1차) (인문한국(HK)지원사업) 2013.09.01.~2014.08.31. 섬의 인문학-문명사적 공간인식 패러다임의 전환(2단계2차) (인문한국(HK)지원사업) 2013.12.27.~2014.11.21. 도서문화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용역(자은도, 장산도) 2014.01.01.~2014.12.31. 농촌활성화지원센터 운영 및 포럼(전라남도) 2014.09.01.~2015.08.31. 섬의 인문학-문명사적 공간인식 패러다임의 전환 (인문한국(HK)지원사업) 2015.06.01.~2015.11.30. 전남역사인물과 지역관광을 연계한 관광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솔루션(TIPS) 서비스 및 문화관광상품 개발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지원사업) 2015.09.01.~2016.08.31. 섬의 인문학-문명사적 공간인식 패러다임의 전환(3단계1차) (인문한국(HK)지원사업) 2015.09.01.~2016.08.31. 다도해의 모항 목포의 희망만들기 인문담론(인문도시지원사업) 2016.06.01.~2016.08.31. 제7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개최 2016.09.01.~2017.08.31. 섬의 인문학-문명사적 공간인식 패러다임의 전환(3단계2차) (인문한국(HK)지원사업) 2017.09.01.~2018.08.31. 다도해의 모항 목포의 희망만들기 인문담론(3차년도) (인문도시지원사업) 2017.09.01.~2018.08.31. 섬의 인문학-문명사적 공간인식 패러다임의 전환(3단계3차) (인문한국(HK)지원사업) 2018.04.19.~2019.02.08. '디지털해남문화대전' 기초조사연구 및 원고 집필 사업 (학술연구용역) 2018.05.23.~2019.01.30. 황해교류역사관건립 전시콘텐츠 확보방안 연구용역 (학술연구용역) 2018.09.01.~2019.08.31. 섬의 인문학-문명사적 공간인식 패러다임의 전환(3단계3차) (인문한국(HK)지원사업) 2019.05.23.~2019.08.17. 가고 싶은 섬 공모지원 연구 용역 (학술연구용역) 2019.06.04.~2019.10.31. 해양경찰 뿌리찾기 학술연구용역 (학술연구용역) 2019.06.19.~2020.01.14. 2019 해양문화 연구총서 발간 (학술연구용역) 2019.09.09.~2019.11.15. 완도 법화사지 사적 지정과 활용방안을 위한 학술대회 (학술연구용역) 2019.10.02.~2019.10.31. 장보고 선양 활성화 포럼-장보고 탄신일 제정 논의와 관련하여- 학술연구용역 2019.08.20.~2019.10.31. 황해교류테마파크 기본계획 및 타당성 조사 2021.07.01.~2021.11.30. 2021년 남도학 첫걸음-이야기로 푸는 남도의 강과 산과 바다와 섬, 그리고 사람들 (남도학 첫걸음 프로그램 지원사업) 2022.04.08.~2022.12.31. 영산강 느러지 명승지정을 위한 학술연구 2022.06.23.~2022.07.11. '한국의 하이난, 해남의 해양사를 탐구하다' 학술발표회 개최 2022.09.08.~2022.11.30. 2022 나주 영산강 학술대회 행사대행 2022.09.08.~2022.12.20. 2022년 영산강 인문아카데미 행사대행 2022.09.08.~2022.12.20. 2022년 영산강 협력방안 모색 워크숍 행사대행 2022.11.29.~2023.04.26. 진도군 역사문화자원조사 연구용역 2022.11.07.~2023.02.28. 2022년 전남 도민 정책학교 2022.12.28.~2023.08.24. 미래지향적 장보고 선양사업 종합전략 수립용역 2023.01.30.~2023.03.21. 완도 해수관음상 건립 모색을 위한 학술회의 용역 2023.05.03.~2023.08.31. 2023년 영산강 인문아카데미 행사대행 2023.06.14.~2023.12.31. 2023년 무안군-나주시 영산강 협력방안 워크숍 2023.07.01.~2023.11.30. 해상왕국의 염원이 깃든 진도·완도, 섬 역사기행 (도민행복대학 남도학 사업) 경력사항 1995. 9. ~ 현재 목포대 사학과 교수 2004. 3. ∼ 2005.2. 목포대학교 역사문화학부 학부장 2005. 3. ∼ 2007.2.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소장 2005. 10 ~ 2007. 10. 목포포럼 공동대표 2006. 3. ∼ 2007.2. 목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원 원장 2007. 3. ∼ 2008.7. 호주 그리피스대학 한국학연구소 교환교수 2009. 3.∼ 2010.4.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소장 2009. 4. ∼ 2015. 3.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2009. 3.∼ 2010.4.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소장 2010. 1. ∼ 2011.12. 역사문화학회 회장 2010. 4. ∼ 2019. 8.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장 2010. 6. ∼ 현재. (재)목포문화재단 이사 2013. 11. ∼ 2016. 10. 동아시아도서해양문화포럼 초대회장 2013. 4. ∼ 현재. 장보고해양경양사연구회 회장 2015. 9. ~ 2017년 4월 30일. 목포 도시재생사업 추진단장 겸 통괄코디 2016. 6.~ 현재. (사)장보고글로벌재단 이사 2017. 1.~ 2020. 12. 목포kbs 시청자위원(2018. 1.~ 12월 31일, 위원장) 2017. 4. ~ 2019. 3.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2018. 4. 16. ~ 현재. 전남선거관리위원회 여론조사심의위원회 위원 2018. 5. 8.~ 2022.12. 국가기록관리위원회(총리산하) 위원 2019. 1. ~ 현재. (사)한국섬재단 상임이사 2019. 10. 22. ~ 현재. 전라남도 인사위원회 위원 2020. 1. ~ 2023. 12. 호남사학회 부회장 2020. 10. ~ 현재. 한국학호남진흥원 이사 2021. 4. 1. ~ 현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 인문학단 전문위원 2022. 1. 17.~2023. 1. 16. 한국섬진흥원 정책자문위원 2023. 1. ~ 현재. 목포KBS 시청자위원 2024. 1. 1.~ 현재. 호남사학회 회장 2024. 2. ~ 현재.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과 자문위원장 수상경력 2010. 4. 20 제4회 장보고대상 대통령상 수상 2018. 8. 8. 섬 발전 유공 전남도지사 표창 2021. 5. 31. ‘완도 명예군민’ 위촉 및 표창 2021. 8. 6. 섬 발전 유공 대통령 표창 닫기 메일 보내기 한정훈 직위(직급) 부교수 세부전공 한국중세사, 해양문화사, 역사콘텐츠 기획 전화번호 061-450-2131 이메일 h313100@mnu.ac.kr 사무실 인문관(B15) 411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한정훈 메일 보내기 한정훈 직위(직급) 부교수 이메일 h313100@mnu.ac.kr 세부전공 한국중세사, 해양문화사, 역사콘텐츠 기획 전화번호 061-450-2131 사무실 인문관(B15) 411호 학력사항 부산대학교: 사학과(문학사) 부산대학교: 사학과(문학석사) 부산대학교: 한국사전공(문학박사) 논문실적 2023: 조선 초기 법성창의 해양사적 의미 - 법성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2022: 여말선초 공납자기 운송에 관한 재검토 - 상주 공납자기를 중심으로 - 2022: 15세기 전라도 조운선의 침몰과 그 대책 2021: 고려시대 동남해지역 해양사와 중심 포구의 이동 -조선 초기 부산포 개항과 관련하여- 2021: 고려·조선 초기 영암지역 역로망과 역원 -영보월 명 기와 출토 유적과 관련하여- 2019: 여말선초 산간 역로의 개통과 그 요인 2019: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사업의 분석과 과제 2019: 고려시대 전라도 조운·조창의 현황과 특징 2018: 고려시대 ‘해항도시’ 나주에 관한 시론 2017: 태안해역 출수 木簡의 비교를 통한 해운활동 고찰 -마도 4호선을 중심으로- 2016: 고려시대 강진지역 교통입지와 청자 유통 2016: 고려시대 안흥창과 부안청자의 운송방식 2016: 고대 목간의 형태 재분류와 고려 목간과의 비교 2015: 중학교 역사교과서 ‘交通史’ 서술 내용 분석 -한국 전근대사를 중심으로- 2015: 동아시아 중세 목간의 연구현황과 형태 비교 2015: 15·16세기 漕倉制의 재정립과 그 이해방향 2014: 한국 중세 漕運史 시기 구분 試論 2014: 조선 전기 ‘官船漕運制’ 연구에 대한 재검토 2014: 조선 건국기 漕運體制의 정비와 그 의미 2013: 고려·조선 초기 낙동강유역 교통 네트워크 연구 2012: 고려말·조선초 경상도 해안 역로망의 재편성 2011: 12·13세기 전라도지역 私船의 해운활동 -수중 발굴성과를 중심으로- 2010: 고려시대 연안항로에 관한 기초적 연구 2010: 고려 후기 漕運制의 운영과 변화 2010: 기장지역 옛길의 역사적 변천 2010: 고려시대 險路의 交通史的 의미 2009: 고려시대 漕運制의 海洋史的 의미 2009: 고려 초기 60浦制의 실시와 그 의미 2009: 高麗時代 交通과 租稅運送體系 硏究 2008: 고려 전기 兩界의 교통로와 운송권역 2007: 고려시대 13조창과 주변 교통로의 연구 2006: 6·7세기 新羅 交通機構의 정비와 그 성격 2004: 고려시대 漕運制와 마산 石頭倉 2003: 신라통일기 육상교통망과 五通 2002: 고려전기 驛道의 형성과 기능 주요저서 2023: 섬 인문학 산책(공저) 2021: 고려시대의 상주(공저) 2020: 남도 바다, 사람이 살다(공저) 2020: 남도학 첫걸음(공저) 2020: 경남도사(공저) 2019: 해양강국 고려와 전남(공저) 2018: 천년의 역사문화도시 나주의 재발견(공저) 2018: 21세기에 다시 보는 고려시대의 역사(공저) 2017: 황산역(공저) 2016: 한국 역사교과서의 교통사 서술과 쟁점(공저) 2013: 한국해양사Ⅲ(공저) 2013: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 2009: 고려, 뱃길로 세금을 걷다(공저) 경력사항 2016~ 목포대학교 사학과 교수 2019~2023 전라도 천년사 편찬위원 2019~2022 목포대학교 박물관장 2014~2015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2013~2014 일본 도쿄대학교 한국조선문화연구실 연구원 2011~2012 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 닫기 메일 보내기 최성환 직위(직급) 부교수 세부전공 한국근현대사, 로컬스토리, 역사콘텐츠 기획, 역사축제 전화번호 061-450-2132 이메일 lovesum@mnu.ac.kr 사무실 인문관(B15) 413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최성환 메일 보내기 최성환 직위(직급) 부교수 이메일 lovesum@mnu.ac.kr 세부전공 한국근현대사, 로컬스토리, 역사콘텐츠 기획, 역사축제 전화번호 061-450-2132 사무실 인문관(B15) 413호 학력사항 목포대학교 : 사학과(문학사) 목포대학교 : 사학과(문학석사) 목포대학교 : 한국지방사학과(문학박사) 논문실적 2010: 유배인 김약행의〈遊大黑記〉를 통해 본 조선후기 대흑산도 2010: 19세기 초 문순득의 표류경험과 그 영향 2011: 목포의 해항성과 개항장 형성과정의 특징 2011: 조선후기 추자도 유배인의 추이와 생활양상 2011: 러일전쟁기 일본해군의 옥도 팔구포방비대 설치와 활용 2012: 開港 初期 木浦港의 일본인과 海上네트워크 2012: 조선후기 문순득의 표류노정과 송환체제 2012: 비금도 천일염전 개발과정과 사회적 확산 2013: 해항도시 목포의 예향성과 가요 '목포의 눈물' 활용사례 2013: 섬사람들의 탈경계적 공간인식과 지적전통-유교이념과 신안군 사례를 중심으로- 2014: ‘頭流壇’을 통해 본 金平默의 智島 유배생활 : 그 소통과 영향 2014: 『속음청사』를 통해 본 20세기 초 김윤식의 지도유배생활과 도서지역 사회상 변화 2014: 천일염전 개발과정을 통해 본 섬사람들의 이주 현상과 공동체적 특징 2015: 정약전의 흑산도 유배생활과 저술활동 2016: 1920년대 목포청년운동과 지역엘리트의 성격에 대한 연구 2016: 1897년 지도군수 오횡묵의 도서순행과 『심진록』에 담긴 도서지역 향촌사회 정보 2016: 광복이후 비금도 대동염전 개발과정과 사회적 가치 2017: <玆山錄>을 통해 본 19세기 후반 박우현의 우이도 유배생활과 섬 사회상 2017: 목포 고하도 일제강점기 역사유적의 내력과 그 성격에 대한 고찰 2017: 일제강점기 청산도 고등어 어업의 실태와 영향 2018: 목포의 ‘로컬리티’로서 고하도 이충무공 문화유산의 전승 내력과 가치 2019: 1919년 목포 4·8독립만세운동의 전개과정과 주요인물 2020: 육지면 보급 후 일제강점기 목포항의 기능과 영향 2020: 암태도 소작쟁의의 주요 인물과 쟁의의 특징 2021: 목포 근대문화유산의 보존 현황과 활용 양상 2021: 데예(Deshayes) 신부 기록을 통해 본 대한제국기 목포항과 섬의 사회상 2022: 일제강점기 도초도 소작쟁의의 전개과정과 특징 2022: 목포 개항장 각국조계의 운영양상과 특징 2022: 1970년대 서남동 목사의 사회상 인식과 민주화운동 2023: 1920년대 박복영의 암태도 소작쟁의 역할과 대외 활동 주요저서 2022: 역사논문쓰기입문 2020: 목포 2020: 유배인의 섬 생활 2017: 신안군 문화관광가이드북 2021: 문순득 표류연구 2016: 목포의 심장: 목원동 이야기』 2014: 천사섬 신안 섬사람 이야기 2012: 바다로 간 천사 섬이 되다-신안이야기 공동저서 2023: 수선화의 섬: 선도 2023: 섬 인문학 산책1 2023: 섬 인문학 산책2 2023: 섬: 위기의 바람과 변화의 물결 2023: 섬의 변화와 혼돈: 적응과 지속 2021: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10년: 진단과 전망 2019: 동아시아의 표류 2015: 섬 공간의 탈경계성과 문화교류 2015: 경제활동 공간으로서 섬 2015: 섬의 사회상과 공동체 문화 2015: 섬과 인문학의 만남 2015: 섬을 열다 2012: 섬과 바다의 문화읽기 2012: 동아시아 개항도시의 형성과 네트워크 연구활동(책임연구) 2023: 한국전쟁기 민간인 희생사건 진실규명 공동수행 구술채록(신안 중부권) 2023: 목포 이순신 수군문화축제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22: 한국전쟁기 민간인 희생사건 진실규명 공동수행 구술채록(신안 임자권) 2022: 신안군 항일농민운동 주요인물 및 기록물 조사 2021: 해방이후 전남지역 노동운동사 연구 2021: 한국 섬생활사박물관 건립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검토 2021: 지도읍 선도 문화유산 조사용역 2021: 신안군 문화도시 조성계획 수립 용역 2020: 신안군 지역별 농민운동연구용역 2020: 신안군 지역사 연계 교수학습교재 개발 2019: 전라남도 향토자원 사업화 실태조사 및 활용방안 2019: 일제강점기 전남지역 노동운동사 연구 2018: 신안튤립축제 성과평가 연구 2017: 목포근대역사 우수 건축문화자산을 활용한 문화재 등록 연구 2017: 서남권 민족독립운동 기념관 건립 타당성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16: 고하도 문화유적 학술연구 2016: 신안군 유배인 및 유배문화 연구 2013: 문순득표류역사기념관 건립 기본계획 연구 2013: 천사섬 신안 섬사람이야기 발간 학술 연구 2012: 비금도 천일염전의 형성과정 연구조사 학술용역 주요활동 여수·순천 10·19 진상조사 및 명예회복위원회 실무위원회 위원 겸 소위원장 전라남도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전라남도교육청 기록물 심의위원 전라남도 일제강점기 유적관리위원회 위원 목포시 문화도시추진위원회 위원장 목포시 문화유산위원회 위원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 운영자문위원회 부위원장 전라남도 농업박물관 운영자문위원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유물전시관 운영자문위원회 부위원장 (사)신안농민운동기념회사업 운영자문위원 영암문화관광재단 이사 목포문화원 자문위원 신안문화원 향토사연구위원회 위원 신안군 지명위원회 위원 한국해양사학회 해양담론 편집위원 도서문화연구원 도서문화 편집위원 한국역사민속학회 이사 호남사학회 연구위원장(전) 수상경력 2001: 목포시장 표창장(문화예술 발전 공로자) 2004: 신안군수 표창장(문화예술 발전 공로자) 2004: 전라남도향토사연구논문공모 최우수상. 2009: 대한민국문화원상-향토사연구부문 2018: 목포교육지원청 목포교육대상 지식재산권&저작권(학생들과 공동작업 결과물)> 2020: 보드게임판(디자인) 2020: 보드게임용 카드(디자인) 2021: 임자삼절 가을새우(하울) 캐릭터 2021: 임자삼절 모과(모아) 캐릭터 2021: 임자삼절 밝은 달(소원) 캐릭터 유튜브 채널 목포대 역사TV(https://www.youtube.com/channel/UCltLFUkpgxlvnNeJGFZWscw) 닫기 메일 보내기 유연실 직위(직급) 부교수 세부전공 중국근현대사, 질병과 역사, 중국문화사, 중국문화콘텐츠 전화번호 061-450-2136 이메일 fudan2213@mnu.ac.kr 사무실 인문관(B15) 415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유연실 메일 보내기 유연실 직위(직급) 부교수 이메일 fudan2213@mnu.ac.kr 세부전공 중국근현대사, 질병과 역사, 중국문화사, 중국문화콘텐츠 전화번호 061-450-2136 사무실 인문관(B15) 415호 학력사항 전남대학교 : 사학과(문학사) 전남대학교 : 사학과(문학석사) 푸단대학교(Fudan University) : 역사학과(역사학박사) 논문실적 2022: 중국 명청-민국시대 산파 이미지 형성과 변화 2022: 애양원 한센병 환자 자치조직의 형성과 공동체의 성격 변화 2022: 中華人民共和國 건설 초기 과학계의 사상투쟁 2022: ‘分娩’的科學: 西方無痛分娩法與民國時期的産痛表術 2021: 현대 중국의 의료 제도 엿보기: 영화 <나는 약신이 아니다>를 중심으로 2021: 근대 중국의 우생학적 가족 개혁의 구상 2020: 1950년대 중국의 파블로프 학설 수용과 의료 체계의 변화 2020: 중국근현대 의료사 연구의 새로운 흐름과 동향 2019: 1950년대 초기 中華人民共和國의 무통분만 담론 2018: 民國時期 출산의 의료화와 무통분만법의 전파 2018: 1930年代 潘光旦의 優生學 談論: <優生(1931-1932)> 雜誌를 中心으로 2017: 근대 동아시아 마거릿 생어의 산아재한 담론 수용 2017: 民國時期 중국의 우생학 논쟁: 유전과 환경의 논쟁을 중심으로 2015: 明清時期生育控制觀念與其實踐 2015: 20世紀30年代北平婦嬰保健會及其醫療服務 2015: 청대(淸代) 산과(産科) 의서와 여성의 출산: 달생편(達生編)을 중심으로 2015: 明淸時期 휘상의 성장 배경 2014: 20世紀二三十年代生育節制思想的傳播與中國知識界的反應 2014: 中華人民共和國 건국초기(1949-1958) 인구정책의 변화 2013: 노동과 출산의 이중변주: 1950년대 중국의 출산정책과 여성 2013: 20世紀40年代國民政府的生育政策 2012: 孫嚴予與中國優生節育協進會 2012: 근대 한·중 연애 담론의 형성: 엘렌 케이(Ellen Key) 연애관의 수용을 중심으로 2012: 1930년대 人口副刊과 산아제한 담론 2011: 民國時期上海地區的生育節制運動: 以上海節育硏究社爲中心的考察 2011: 民國時期 여성 지식인의 산아제한 인식과 피임의 실천 2011: 民國時期知識女性對節育的認識和避孕方法 2011: 근대 중국 언론에 나타난 朝鮮 여성의 形象 2010: 1920년대 마거릿 생어의 중국 방문과 산아제한에 대한 사회적 반응 2010: 1930년대 上海의 “電影皇帝” 金焰과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만들기 2009: 民國時期關于“生育節制”的四大論戰 2009: 民國時期 산아제한 단체의 설립과 피임의 의료화 2008: 民國時期城市生育節制運動的硏究:以北京·上海·南京爲重点(박사논문) 주요저서 2023: 역사 속의 산파와 조산사 2021: 의료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2021: 코로나19 데카메론 2 2020: 코로나19 데카메론 1 2014: 傳播視野下與中國硏究 2013: 도시 성 사랑 2013: 第二屆中國近現代社會文化史國際學術硏討會論文集 2012: 首屆中國近現代社會文化史國際學術硏討會討論文集 2011: 中國婦女史論集 연구활동 2023-현재: 1946년 상하이 콜레라 유행과 지역 사회의 대응(한국연구재단) 2019-현재: 경희대학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 가치의 정립과 통합의료인문학(한국연구재단) 2016-2019: 근대 동아시아 우생학 담론의 형성: 우생·優生月刊·優生運動 잡지의 비교를 중심으로(한국연구재단) 2014-2015: 근대 동아시아 마거릿 생어의 산아재한 담론 수용: 1922년 마거릿 생어의 중ㆍ일 방문을 중심으로(한국연구재단) 2012.08-2012.12: 노동공간을 통해 본 광주지역 여성의 노동경험과 생활사 구술 프로젝트(국사편찬위원회) 2012-2015: 출산의 재발견: 문화ㆍ기술ㆍ공간으로 본 출산(한국연구재단) 주요활동 2022~현재: 중국근현대사학회 학술이사 2020~현재: 대한의사학회 이사 2020~현재: 중국사연구 편집위원 2020~현재: 의료사회사연구 편집위원 2020~현재: 여성과역사 편집위원 2019~현재: 의사학(A&HCI) 편집위원 2018~현재: 연세의사학 편집이사 경력사항 2020~현재 (현) 목포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2019~2020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2016~2019 전남대학교 역사문화센터 학술연구교수 2009~2013 전남대학교 사학과 BK21 박사후연구원 닫기 메일 보내기 정재현 직위(직급) 조교수 세부전공 서양근현대사, 동남아시아사, 지구화와 역사콘텐츠, 영상으로 쓰는 역사 전화번호 061-450-2134 이메일 jeoung_jaehyun@mnu.ac.kr 사무실 인문관(B15) 416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정재현 메일 보내기 정재현 직위(직급) 조교수 이메일 jeoung_jaehyun@mnu.ac.kr 세부전공 서양근현대사, 동남아시아사, 지구화와 역사콘텐츠, 영상으로 쓰는 역사 전화번호 061-450-2134 사무실 인문관(B15) 416호 학력사항 고려대학교 : 서양사학과(문학사) 고려대학교 : 서양사학과(문학석사) 파리 7대학(Paris 7 Universite Paris7-Denis Diderot) : 역사학박사 연구주제 프랑스 식민지 제국의 역사 식민 지배 시기 베트남의 역사 논문실적 2023: 1954년 5월 7일, 디엔비엔푸 요새의 함락과 프랑스 식민지 제국의 해체 2022: ‘검은 치욕’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라인 지역 점령에 투입된 프랑스군 식민지 병사들을 둘러싼 인종과 젠더의 담론 – 2021: 제국 안의 인도차이나, 식민지 안의 프랑스 제국주의 – 인도차이나 식민지 경제의 구성 혹은 재구성 – 2020: 식민지 사회의 공론장 형성과 새로운 젠더 문화를 향한 모색 – 1900~1930년대 베트남을 중심으로 – 2020: 식민지 사회의 공론장 형성과 새로운 젠더 문화를 향한 모색 – 1900~1930년대 베트남을 중심으로 – 2020: 19세기 통킹만의 해적들과 프랑스 식민주의 – 국가 권력에 대항하는 초민족적 대항 권력의 역사 – 2019: 1873~1883년의 베트남 탄광 개발 문제 – 근대화와 식민지화의 갈림길에서 – 2019: 프랑스의 식민지 산업화 논쟁과 그 의미 – 1930년대 인도차이나 식민지를 중심으로 – 2019: 식민지 시기 초기 통킹 탄광 개발의 난관과 식민당국의 역할(1888-1914) 학술활동 2023~2026: 움직이는 제국: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식민지인들의 이주, 1900~1950년대」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경력사항 2020. 3. 1.~현재 한국프랑스사학회 연구학술이사 2021. 1. 1.~2022. 12. 31. 역사학회 편집위원 2021. 3. 1.~현재 이주사학회 학술이사 2022. 1. 1.~현재 호남사학회 연구이사 2022. 7. 1.~현재 한국서양사학회 편집상임위원 닫기 메일 보내기 나영훈 직위(직급) 조교수 세부전공 조선시대사, 역사스토리텔링(생활사), 전통문화아카이브 전화번호 061-450-2133 이메일 gustav@mnu.ac.kr 사무실 인문관(B15) 414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나영훈 메일 보내기 나영훈 직위(직급) 조교수 이메일 gustav@mnu.ac.kr 세부전공 조선시대사, 역사스토리텔링(생활사), 전통문화아카이브 전화번호 061-450-2133 사무실 인문관(B15) 414호 학력사항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문학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사학과(문학석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사학과(문학박사) 논문실적 2023: 조선 헌종 대 문관(文官) 인사와 홍문관 관원의 위상 2023: 숙종 초 근기남인의 정치적 논쟁과 대립 2023: 17세기 在京 嶺南 官僚의 同道會와 결속 배경 - 1601년 『영남동도회첩』을 중심으로 - 2022: 조선 숙종대 ‘濁南’의 형성과 인적 교류- 사천목씨, 여흥민씨, 진주유씨를 중심으로 - 2022: 16세기말 영남 관료 李庭檜의 인적 교류와 同官契의 실제 2022: 조선후기 吏曹銓郎의 인사실태와 정치적 위상의 변화 2021: 총론:조선시대 ‘국가의례’ 연구의 성과와 전망 2021: 조선후기 율과입격자의 친족 네트워크과 결속 2020: 조선 현종대 문과급제자의관직 경로와 배경 2020: 조선 후기 의과 입격자의 친족 네트워크와 결속 2019: 17~18세기 廳 아문의 역할과 중앙관제의 변통 2019: 고종대 경복궁 중건 원납전의 납부 실태와 배경 2019: 조선후기 관상감(觀象監) 관원의 친족 네트워크와 결속 2019: 규장각 소장 ‘先生案’의 현황과 자료적 가치 2018: 조선후기 도감의 설치 장소와 공해 활용 2018: 17세기 중반 낙선군 이숙의 생애와 혼례의 특징 2018: 조선초기 廳 아문의 성립과 역할 증대 2017: 17~18세기 典牲署의 관직 운영과 參下官의 官路 2017: 순조대 明溫公主 婚禮의 재원과 前例ㆍ定例의 준수 2017: 17~18세기 司僕寺 관직 운영의 실제와 참상관의 官路 - 장서각 소장 『司僕寺先生案』 분석을 중심으로 - 2017: 17~18세기 도감의 고가(雇價) 마련과 군문재원(軍門財源)의 활용 2016: 고려전기 都監制의 연원과 성립 2015: 17세기 후반~18세기 國葬都監의재원 조달과 규모 2015: 선조대 후반(1592~1608) 都監의 운영을 통해 본 都監制의 역할과 존속 배경 2014: 『의궤(儀軌)』를 통해 본 조선후기 도감(都監)의 구조와 그 특성 2014: 조선전기 都監의 조직과 기능 2013: 조선전기 都監의 운영과 官制정비 2012: 조선초기 繕工監의 운영과 관원의 성격 2011: 조선 단종대 궁궐 경영(經營)과 그 정치사적 의미 주요저서 2023: 조선시대 향촌사회조직과 공동체의 운영원리(공저) 2023: (譯註) 壯勇營大節目. 券二(공역) 2022: 조선 국왕의 군대 사용법(공저) 2022: 17세기 조선 왕실 가족의 혼례 : 가례등록·명안공주가례등록(공역) 2021: 17세기 조선 로열패밀리의 결혼(공저) 2021: (譯註) 壯勇營大節目. 券一(공역) 2020: (한양의 중심) 육조거리(공저) 2020: 역주 화영신정식절목(공역) 2020: 청우 김약제 일기 : 격랑의 시대를 산 19세기 지식인의 기억과 기록(공역) 2019: 경복궁 중건 천일의 기록(공저) 2019: 조선시대 '경기' 연구(공저) 2019: (국역) 경복궁영건일기. 1-2(공역) 2017: 조선시대 한성판윤 연구(공저) 연구활동 2021-2024: 17세기 탁남(濁南) 가계의 성장과 몰락(한국연구재단) 2019-2019: 17~18세기 廳 아문의 역할과 중앙관제(국사편찬위원회) 2019-2020: 조선후기 『先生案』과 中央官制(한국연구재단) 2015-2015: 19세기 국장도감의 인사 관리와 재정 운영(국사편찬위원회) 주요활동 2023~현재: 동양고전학회 편집위원 2023~현재: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 편집위원 2022~현재: Classical Korean Studies 편집위원 2022~현재: 청계사학회 부회장 2019~2019: 한국역사연구회 중세2분과장 2018~2019: 조선시대사학회 편집이사 경력사항 2024~ 목포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2020~2024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2018~2020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2017~201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2016 한국폴리텍대학(청주캠퍼스) 시간강사 닫기 메일 보내기 유원적 직위(직급) 명예교수 세부전공 중국당대사 전화번호 061-450-2130 이메일 wjyoo@mnu.ac.kr 사무실 인문관(B15) 105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유원적 메일 보내기 유원적 직위(직급) 명예교수 이메일 wjyoo@mnu.ac.kr 세부전공 중국당대사 전화번호 061-450-2130 사무실 인문관(B15) 105호 학력사항 서울대학교 : 역사교육과 동양사(문학사) 서울대학교 : 동양사학과 중국당대사(문학석사) 연세대학교 : 사학과 중국당대사(문학박사) 닫기 메일 보내기 신상용 직위(직급) 명예교수 세부전공 영국 근대 외교사 전화번호 061-450-2130 이메일 ymkim@mokpo.ac.kr 사무실 인문관(B15) 105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신상용 메일 보내기 신상용 직위(직급) 명예교수 이메일 ymkim@mokpo.ac.kr 세부전공 영국 근대 외교사 전화번호 061-450-2130 사무실 인문관(B15) 105호 학력사항 한양대학교 : 사학과(문학사) 한양대학교 : 사학과(문학석사) 닫기 메일 보내기 김영목 직위(직급) 명예교수 세부전공 고대로마사 전화번호 061-450-2130 이메일 historyshin@mnu.ac.kr 사무실 인문관(B15) 105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김영목 메일 보내기 김영목 직위(직급) 명예교수 이메일 historyshin@mnu.ac.kr 세부전공 고대로마사 전화번호 061-450-2130 사무실 인문관(B15) 105호 학력사항 전남대학교 : 사학과(문학사) 전남대학교 : 사학과(문학석사) 전남대학교 : 사학과(문학박사) 닫기 메일 보내기 박혁순 직위(직급) 명예교수 세부전공 중국 근대 사회경제사 전화번호 061-450-2130 이메일 hspark2135@gmail.com 사무실 인문관(B15) 105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박혁순 메일 보내기 박혁순 직위(직급) 명예교수 이메일 hspark2135@gmail.com 세부전공 중국 근대 사회경제사 전화번호 061-450-2130 사무실 인문관(B15) 105호 학력사항 서울대학교 : 동양사학과 (문학사) 서울대학교 : 동양사학과 (문학석사) 닫기 메일 보내기 고석규 직위(직급) 명예교수 세부전공 조선시대사 전화번호 061-450-2130 이메일 skkoh@mnu.ac.kr 사무실 인문관(B15) 105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고석규 메일 보내기 고석규 직위(직급) 명예교수 이메일 skkoh@mnu.ac.kr 세부전공 조선시대사 전화번호 061-450-2130 사무실 인문관(B15) 105호 학력사항 서울대학교 : 국사학과 (문학사) 서울대학교 : 국사학과 (문학석사) 서울대학교 : 국사학과 (문학박사) 닫기 메일 보내기